다시 쓰는 택리지 1 - 경기 충청편
조선 후기 대표적인 인문지리서이자 베스트셀러이기도 했던 이중환의 <택리지>. 이 책은 재야 문화사학자이자 답사가인 저자가 <택리지>를 주요 텍스트로 삼아 덧붙여 나가면서 다시 쓴 인문지리서다. 총 5권 완간 예정으로 1권은 경기·충청, 2권은 전라·경상 3권은 강원·함경·평양·황해 편이다.
책은 인문지리로 포괄되는 여러 분야 중에서도 역사와 인물지리에 중점을 두었다. 예안의 퇴계, 청양의 이몽학, 안동의 유성룡, 해남의 윤선도, 평양의 정지상 등 역사적 인물에서 무명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인물들을 통해서 지리를 보는 한편 우리나라의 산하와 사연들을 저자가 직접 찍은 사진에 담아 보여준다.
아울러 기록이나 문화재로 전시되어 보존되고 있는 것보다는 지금이라도 보존하지 않으면 사라져갈 것들에 대해 증언하는 데도 지면을 할애한다. 사라져 가는 길, 아름다운 옛 이름, 옛날의 형체를 도무지 떠올리기 조차 힘들게 변한 산천들에 대한 안타까움을 토로하면서 이를 지켜내기 위한 제언도 내놓는다.
1985년 중반 황토현문화연구소를 발족하여 우리나라 근현대사의 출발점이라 평가받고 있는 동학과 동학농민혁명 그리고 묻혀 있는 지역 문화를 발굴하고 재조명하기 이한 여러 가지 사업들을 펼치고 있다. 1989년부터 문화유산답사 프로그램을 만들어 현재까지 진행하고 있고, 동학농민혁명 백주년 기념사업회에 참가하였으며, 동학농민혁명의 지도자였던 김개남, 손화중 장군 추모사업회를 조직하여 덕진공원에 추모비를 세우는데 일익을 담당하였다. 또한 전통세시풍속을 오늘에 되살리고 재창조하기 위하여 전라세시풍속보존회를 만들어 정월대보름놀이, 삼월 삼짇날의 화전놀이, 유월 유두놀이, 칠월 백중놀이, 구월 중양절의 단풍놀이 등을 발굴, 재현해 내고 있다.
현재 황토현문화연구소장과 전라세시풍속보존회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한국의 10대 강 도보 답사를 기회, 금강,,섬진강,,한강,,낙동강까지 답사를 끝냈고, 대동강,,압록강,,두만강 등 북한의 강을 답사하기 위해 준비중이다. 저서로 『동학의 산 그 산들을 가다』『모악삭』(공저) 『지워진 이름 정여립』 『나를 찾아가는 하루산행 1?2』『금강 401km』『섬진강 따라 걷기』『한국사, 그 변혁을 꿈꾼 사람들』이 있다.
경기도
1. 남한강 주변의 고을
2. 역사와 한의 고장 강화
3. 남북으로 통하던 중요한 길목
4. 수원에서 인천까지
5. 한강 변에 자리한 서울 공화국
6. 한반도의 중심부 경기도
7. 경기 북부의 땅
8. 임진강에 강물은 흐르고
9. 장단 너머에 개성이 있다
10. 500년 왕업의 터는 만월대로만 남아
충청도
1. 내포 땅에 얽힌 사연
2. 홍성에서 보령에 이르는 길
3. 무량사에서 김시습을 만나다
4. 계룡산 아래 공주
5. 강경포구엔 빈 배만 매어 있고
6. 부여, 그 새벽의 땅
7. 충청도와 경상도의 길목
8. 미호천 변의 고을들
9. 교통의 요지 천안
10. 천하의 으뜸가는 물맛
11. 남한강 변의 나루들